※ 학습 노트

학습 시작 2021년 7월 4일

학습 사이트 Coursera(코세라) 평점 4.8

과정 제목 Learning How to Learn: Powerful mental tools to help you master tough subjects

학습 시간 비디오 3시간, 연습문제 3시간, 보너스 자료 3시간 

강사 Barbara Oakley, Dr. Terrence Sejnowski

 

학습일기 2021년 8월 7일

Week3은 암기를 잘하는 방법에 대한 내용이다.

암기는 빨리 잊더라도 빨리 외울 수 있는 기술로 인식되는데, 외운 것을 오래 유지하는 법도 같이 나온다. 

그 중 앞 글자를 따서 외우는 방법은 워낙에 고전적이다.

 

익숙한 장소에 이미지를 배치하는 방식으로 기억하는 것은 학습법, 기억법으로는 처음 본다.

하지만, 어렸을 때 아빠가 시장에 심부름을 보내며 구매 리스트가 적힌 메모를 쥐어주는 대신, 휴지는 왼 손에, 호박은 오른 손에, 우유는 머리에 이고 온다고 생각하고 가라고 했던 제안과 비슷하다. 몇 십년 전의 기억인데, 이 영상에서 예시를 든 리스트와 똑같아서 너무 놀랐다...ㅎ 다만 신체 부위가 아니라 장소를 활용하는 방법을 제시했는데, 마트에 갔을 때 내 몸도 같이 있기 때문에 ㅎㅎ 신체 부위를 보며 떠올리는 것이 더 쉽고 효과적일 것 같다는 생각이 든다.

 

그러고보니 아빠가 알려준 기억법이 또 있다. 거진 20년? 전인데 아직도 기억나는 것을 보니 스토리텔링까지 가능한 방법이여서인 것 같다. 그때 외워야하는 전화번호가 000-2504였는데, 2504를 거꾸로 해서 4052로 만들고, 사공이 오이를 들고 거꾸로 가는 장면을 상상해보라고 하셨다.   

 

 

Creating meaningful groups and the memory palace technique (6'28)

  • 앞 글자를 따서 외우는 방법 (단어 혹은 문장) 
  • 예를들어, 의학을 배우는 경우, 외워야할 내용이 많은데, 머리 뼈를 외울 때, Occipital, Parietal, Frontal, Temporal, Ethomoid, Sphenoid의 첫 글자를 따서 Old People From Texas Eat Spiders 로 외우면 도움이 됨
  • 인터넷에 다른 사람들이 만들어 놓은 것을 보거나 스스로 만들어  보도록 해봐라
  • 숫자를 외울 때는 나와 관련있거나 친숙한 정보와 연관지어 기억하는 방법. (영상의 강사는 개인적으로) 본인이 그 나이일 때, 혹은 그 나이가 됐을 때의 감정과 연관지어 생각해봄. 예를 들어 18은 18살 때 세상 밖에 나갔었고, 104는 그 나이가 되면 행복한 할머니가 되어있기를 희망하는. 
  • 기억하길 원하는 것을 그루핑하는 것으로 memory palace 기술은 특히 파워풀한 방법이다. 살고 있는 집, 학교 가는 길 등과 같이 익숙한 장소를 떠올려서 활용하는 것인데, 각 장소 (거실, 방 등)에 개념 이미지를 배치하여 시각적 노트 패트처럼 사용하는 방법이다. 이는, 예를들면 시장 목록표와 같이 특히 관련성이 없는 아이템을 기억하는 데 좋다. 
  • memory palace 기술은 처음에는 견고한 멘탈 이미지를 상기하는데 시간이 걸리지만, 연습할 수록 빨라진다. 한 리서치는 memory palace 기술을 사용할 때, 한 두 번의 연습으로 40-50개의 아이템을 95% 이상 기억할 수 있다고 했다.
  • 이러한 기억법은 미래에 관련성을 가지게될지도 모르는 기억들을 쌓는 것이므로 창의력에도 도움이 된다.

ward off 물리치다

hawthron 산사나무 

laden with ...이 가득한

cranial bone 머리뼈

voila 짜잔

dribble 질질 흘리다, 똑똑 떨어지다

conjure up ~을 상기시키다, 생각해내다.

purist 순수주의자

sniff at something ~에 콧방귀 뀌다

oddball 괴짜

gimmick (관심을 끌기 위한) 술책

so to speak 말하자면

evocative 좋은 생각을 떠올리게 하는

embed (단단히) 박다

grandiose 아주 훌륭한

 

추가 영상 (검색어: memory)

Where Are Memories Stored? I Neuro Transmissions (6'27)

https://youtu.be/R0wbTR95VEs

  • 사실과 이벤트를 기억하는 서술 기억(declarative memory)과 습관 형성과 기술 개발과 관련한 비선언적 기억(nondeclarative memory)이 있음
  • 뇌는 영역별로 다양한 역할을 하는데, 감정적인 반응은 편도체(amygdala)에서, motor memory는 소뇌(cerelellum)에서, 사실과 이벤트에 대한 기억은 중앙의 측두부(medial temporal lobe) 시신경상(thalamus) 시상하부(hypothalamus)에서 한다. 
  • 개별 기억이 새로운 뇌세포에 저장되는 것이 아니다. 대신, 뉴런은 새로운 연결을 만들고 이미 있는 시냅스를 다른 뉴런과 강화하거나 오래된 연결을 제거하거나 약화시켜 우리가 새로운 정보를 받아들일 수 있도록 한다.
  • 기억은 시냅스의 강도를 변화하여 저장된다고 생각하고 이 개념을 Cells that fire together, wire together라고 요약한다.
  • Long term potentiation (LTP)는 뉴런1이 뉴런2에게 반복적으로 신호를 보내고 이것은 뉴런2가 시냅스 이후 끝에 더 많은 수용기를 더하도록 한다. 이는 결국 뉴런1에게 더 많은 신경전달물질을 시냅스 이전 종말로부터 보내도록 한다. 따라서 뉴런1과 뉴런2 사이의 시냅스는 더 강해진다. 그리고 더 강해진 시냅스가 기억을 더 강하게 할 수 있다. 다양한 종류의 LTP가 뇌 전반 있음 

potentiation 강화 작용

plasticity 가소성

in tern 차례차례, 결국

 

 

(검색어: brain and memory)

How to triple your memory by using this trick | Ricardo Lieuw On | TEDxHaarlem (16'18)

https://youtu.be/JsC9ZHi79jo

  • 스마트폰을 사용하는 요즘, 그 자리에서 바로 찾아볼 수 있기 때문에 기억을 하는 방법이 왜 중요한가 물어볼 수 있지만, 기억하는 방법을 다양하게 실험하면서 내가 어떤 것이든 잘 할 수 있다는 것을 발견했다. 어떤 것이 나한테 통하고 어떤 것은 나한테 통하지 않는지 확인했다.  
  • 모든 사람은 실험을 통해서 자신을 증명할 수 있다.
  • 실험의 프로세스 - 지금 무엇을 하는지 확인, 가능한 모든 새로움을 시도하여 경험, 새로운 것을 실제 삶에 적용해보고 작동하는지 확인 

grunting 그르렁

moaning 신음하다

flunk 낙제하다

cut out for ...에 적합하여

for the hell of it 그냥 장난으로 [별 이유 없이]

go-kart 지붕.문이 없는 작은 경주용 자동차

tingly 따끔거리는

rusty 녹슨

반응형

 

※ 학습 노트

학습 시작 2021년 7월 4일

학습 사이트 Coursera(코세라) 평점 4.8

과정 제목 Learning How to Learn: Powerful mental tools to help you master tough subjects

학습 시간 비디오 3시간, 연습문제 3시간, 보너스 자료 3시간 

강사 Barbara Oakley, Dr. Terrence Sejnowski

 

학습일기 2021년 8월 7일

 

Diving Deeper into Memery (6'33)

  • 이미지는 단조롭고 기억하기 어려운 개념을 압축하여 보여주기 때문에 개념과 의미를 기억하는데 도움이 됨. 특히 더 재미있고, 좋은 생각을 떠올리게 하는 이미지가 좋음
  • working memory에서 long term memory로 가기 위해서는 아이디어가 기억할만한 것이어야 하고, 반복되어야 한다.
  • 반복 학습은 하루에 여러 번 하는 것 보다, 여러 날에 거쳐 산발적으로 하는 것이 좋음
  • 인덱스카드를 만들거나, 쓰거나, 말하는 방법은 기억을 유지하는데 도움이 됨
  • 예를 들어, 밀도 ρ = kg/m³를 학습할 때 인덱스카드 한 면에 ρ를 쓰고 다른 면에 kg/m³를 작성하면, 손글씨를 쓰는 것 자체가 신경 기억 구조로 전환하는 것을 도와준다. kg/m³ 를 작성할 때는 1 kg의 무게가 세 변이 1m인 가방에 들어있는 것을 상상해보도록 한다.
  • 다음으로는 청각적인 도움을 위해 한 면의 ρ를 보고, 다른 한 면에 뭐가 쓰여있는지 기억하도록 시도해봐라. 기억이 안나면 뒤집어서 답을 보고, 기억이 나면 카드를 뺀다.
  • 여러 개의 카드를 만들어서 순서대로 기억을 해보고, 섞어서 기억을 해보면 interleave 학습에도 도움이 된다. 
  • 매일 아침 또는 저녁에 반복적으로 연습을 하다가, 점점 간격을 넓혀서 연습한다.

plump 포동포동한

mule 노새

encapsulate 요약하다

humdrum  단조로운

evocative 좋은 생각을 떠올리게 하는

braying 울다, 듣기 싫은 소리로 말하다.

metabolic 물질[신진]대사의

sporadically 산발적으로

lurk 숨어있다, 도사리다

retrieve 되찾아오다, 검색하다

 

 

What is Long Term Memory (5'02)

  • 해마는 기억의 저장과 상기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기관임
  • 해마가 없으면, 기억 공고화라고 불리는 새로운 기억을 저장하는 프로세스가 불가능함. 오래된 기억을 떠올릴 수는 있어도 새로운 정보는 기억하지 못함.
  • 기억은 떠올릴때마다 바뀌며, 그 것은 기억의 재공고화라고 함. 이것은 심지어 잘못된 기억을 심게도 한다.
  • 공고화는 뇌의 active memory를 사용한다. 그리고 뉴런의 돌기에 있는 시냅스를 수정하여 long term memory에 저장한다. long term memory는 working memory로 복귀시키기까지 휴면 상태이다.
  • 복귀된 기억은 재공고화를 통해 오래된 기억을 대체하고 그 자체로 long term memory가 될 수 있는 새로운 context이다.
  • 기억들은 서로 뒤얽히기 때문에 새로운 것을 배우면 오래된 기억도 변한다.  이는 한 번에 다량의 학습을 하는 것보다, 꾸준히 학습하는 것이 좋은 이유이다. 1시간 짜리 공부를 위해서 하루에 1시간 하는 것보다, 10분씩 여러 날 하는 것이 더 효과적이다. 따라서 시험 전날 벼락치기를 하면, 시험 당일날은 기억할 수 있겠지만, 장기적으로는 금방 까먹을 수 있다.
  • 뇌는, 뉴런 뿐만 아니라 교질 세포(glial cell)라고 불리는 다른 몇 개의 지지 세포(supporting cell)가 있다. 별 아교 세포(astrocyte)는 인간 뇌에서 가장 풍부한 교질 세포이다. 별 아교 세포는 뉴런에 영양을 제공해서 세포 외 이온 균형을 유지하고, 부상을 회복할 때 관여를 한다.
  • 복잡한 별 아교 세포가 뉴런을 감싸 수 천개의 시냅스를 아우른다.
  • 별 아교 세포는 학습에도 도움이 되는데, 인간의 별 아교 세포를 쥐의 뇌에 이식 했을 때, 쥐는 더 빨리 배움..........................왓......?
  • 아인슈타인의 뇌를 들여다봤을 때 일반인과 다른 부분은 별 아교 세포가 많다는 것이였음

epilepsy 뇌전증

amnesic 건망증의

memory consolidation 기억공고화

concussion 뇌진탕

memory reconsolidation 기억의 재공고화

dendrite 돌기

reinstate 복귀시키다

dormant 휴면기의, 활동을 중단한

glial 신경교 glial cell 교질 세포

astrocyte 별 아교 세포

intricate 복잡한

 

추가 영상 (검색어: astrocyte)

Where Are Astrocytes? I Neuro Transmissions (5'42)

https://youtu.be/Utaeaz-tD5s

  • 별 아교 세포는 교질 세포의 반을 차지하고, 하나의 별 아교 세포는 수천 개의 뉴런과 연결됨
  • 별 아교 세포는 혈관에서 뉴런으로 영양을 셔틀하고, 이온 농도를 완충하거나 균형 잡아주며, 뇌 부상 시 수선함
  • 별 아교 세포는 뉴런과 소통하고, 시냅스를 개발하고 안정적으로 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함 
  • 대부분이 시냅스는 3개 파트가 있음. 시냅스이전종말(presynaptic terminal), 시냅스이후종말(postsynaptic terminal), 그리고 별 아교 세포 과정(astrocytic process)임. 이런 구성은 별 아교 세포가 뉴런의 신호를 모니터링하고 시냅스의 수용기에 영향을 줄 수 있는 다른 단백질을 제공하여 계속 기능을 할 수 있도록 함. 
  • 별 아교 세포는 뉴런이 신경전달물질을 재활용하는데도 도움을 줌. 글루탐산염이 내보내는 흥분성 시냅스 (excitatory synapes)에서 별 아교 세포는 시그널이 보내진 후에 시냅스로부터 여분의 글루탐산염을 빨아들일 수 있다. 그리고 뉴런에 클루탐산염을 글루타민 형태로 보내 재사용하도록 한다.   
  • 뉴런처럼 별 아교 세포도 신경전달물질에 반응할 수 있다. 다만 전기 신호 대신에 칼슘을 사용한다. 칼슘 파동(calcium wave)은 별 아교 세포끼리 소통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기 때문에 뇌에서 긴 거리를 이동할 수 있다. 

buffer 완충제

ion concentration 이온 농도

in favor of ...에 찬성[지지]하여 

unassuming 잘난 체하지 않는

receptor 수용기[감각기]

neural transmitter 신경전달물질

excitatory 흥분성. 뉴런 간의 연접(시냅스)에서나 기억 모형의 매듭(node) 간의 연결에서 이전 단위의 흥분이 다음 단위의 흥분을 일으키는(혹은 강화하는) 관계

glutamate 글루탐산염 glutamine 글루타민

retinal ganglion 망막 신경절 

반응형

※ 학습 노트

학습 시작 2021년 7월 4일

학습 사이트 Coursera(코세라) 평점 4.8

과정 제목 Learning How to Learn: Powerful mental tools to help you master tough subjects

학습 시간 비디오 3시간, 연습문제 3시간, 보너스 자료 3시간 

강사 Barbara Oakley, Dr. Terrence Sejnowski

 

학습일기 2021년 7월 31일

코세라 듣던 중, '미루기'가 주제로 나옴
몇 년 전 누군가의 추천이였는지, 우연히 인터넷에서 보게된 것인지 가물하지만,

Ted에서 미루기 관련 영상을 재미있게 본 기억이 있어서 다시 찾아봄

 

 

Tackling Procrastination - It is easier, and more valuable, than you think (6'09)

  • 공부하기 싫으면 그럴싸한 핑계를 만들게 된다. "너무 일찍 공부하면 시험볼 때 까먹을거야" 같은. 이거 너무 내 얘기라 깜짝 놀랐다 ㅋㅋㅋ 다이어트 내기 할 때 딱 이 마음이였는데 ㅎㅎ 너무 일찍부터 빼다가 나중에 힘들어서 포기하면 안된다고 계속 미룸... 
  • 학년이 높아질 수록(공부의 수준이 높아질 수록) 미루기를 통제하는 것이 점점 중요해짐
  • 초반에 만들어진 습관 때문에 나중에 발목잡힐 수 있음

arsenic 비소

downed 빠져든

uncanny 이상한

tackling 방해함

fend off 받아넘기다

cramming 억지로 밀어 넣다, 주입식/벼락식 공부

space something out ~사이에 넓은 간격을 두다

monumentally 엄청나게, 어처구니없을 정도로

ravaging 황폐하게 만들다

well meaning 좋은 뜻에서 하는 (그러나 흔히 성공적이지는 못한)

 

 

Zombie Everywhere  (3'13)

  • chunking하는 것은 습관과 관련이 있음. 습관은 다른 타입의 행동을 생각하지 않도록 해주므로 에너지를 절약해줌
  • 습관의 구성 1. cue (신호), 2. routine, 3. reward (미루기는 보상이 빠르고 쉽기 때문에 습관이 되기 쉬움), 4. belief 

proposition 제의

deluge 폭우, 쇄도, 폭주

 

 

Surf is Up: Process versus product (4'02)

  • 특정 과제를 불편해하고 미루고 있다면, 프레임을 바꾸는 것도 방법. Product 대신 Process에 초점을 두는 것
  • Process는 시간의 흐름과 관련 있는 습관과 행동임
  • Product 보다 process에 초점을 두면 스스로에 대한 판단 (이 과제를 할 수 있을까?) 대신 흐름에 맡길 수 있다

get on with it 서둘러

put forth your best

enlist (협조.참여를) 요청하다

 

 

Harnessing your zombies to help you (5'35)

  • 습관을 구성하는 것을 미루기 관점에서 분석해보면
  • 1. cue(신호): 장소, 시간, 감정, 사람 또는 일어난 일에 대한 반응. 방해 신호는 미리 막는 것이 좋음. 예를 들어,  핸드폰을 끄거나 인터넷을 멀리하는 방식으로.  
  • 2. routine(규칙적으로 하는 일의 통상적인 순서와 방법):  계획을 세워 새로운 ritual을 만들어야 함. 예를들어 수업에 들어오기 전에 핸드폰을 차에 두고 오거나, 도서관에서 조용한 자리를 잡거나, 인터넷 접속이 어려운 위치에 앉는 것
  • 3. reward
  • 4. belief 신념을 강하게 하는 방법으로 community가 있음. 개발/독려 문화를 통해 우리의 약점을 잊게할 수 있음

harness 마구를 채우다

utterly 완전히

frivolous 경솔한, 시시한

spur 박차

flow state 상태 몰입감

long to do ~하고 싶은 생각이 간절하다

fall back into ...에 뒤로 물러나다

 

 

Juggling life and learning (5'27)

  • 보통 사람들에게 학습은 삶의 많은 과제 중의 하나이기 때문에, 학습을 실행하고 성취 하려면 일주일에 한 번 주요 과제를 리스트로 작성하는 것이 필요
  • 그리고 매일 전 날, 그 다음 날 할 일들을 작성하기를 시도하라. 하루 전날 작성하는 이유는? 연구 결과, 잠재의식이 그 과제 리스트를 고심하다가 어떻게 성취할 수 있을지 방법을 찾아낸다고 한다.  
  • 과제 리스트를 작성하지 않으면, 과제가 소중한 working memory를 차지하지만, 과제 리스트를 작성하면 working memory를 문제 해결에 사용할 수 있다.
  • 경험이 쌓이면서 과제를 하는데 걸리는 시간을 보다 정확하게 예측할 수 있지만, 처음에는 그렇지 않을 수 있으므로, 계획한 시간 내에 과제를 끝냈는지, 그러지 못했는지 확인하고 기록해두면 좋다. 
  • 퇴근 시간을 정하는 것처럼 주요 과제 (학습)이 끝나는 시간도 정해둬라
  • 아침에 제일 중요하고 하기 싫은 일을 처리하라

subconscious 잠재의식

grapple 고심하다

lurk 숨어있다

sprinkle 뿌리다

prolonged 오래 계속되는

bout 한바탕

doggedly 억세게

fume with 에 씩씩대다

unsettle 불안하게 하다, 동요시키다

 

Ted

Inside the mind of a master procrastinator l Tim Urban (14'03)

조회수 4000만 명

작가 블로그 https://waitbutwhy.com 

https://www.youtube.com/watch?v=arj7oStGLkU

  • 우리의 뇌는 합리적인 의사결정을 하는 부분과 즉각적인 만족감을 원하는 부분이 있음
  • 보통 합리적인 사고를 하는 부분은 마감일이 다가와 패닉 몬스터가 나타났을 때 작동함
  • 그런데 마감일이 없는 일들 (가족들과 시간 보내기, 꾸준히 운동하기 등)은 패닉 몬스터가 등장하지 않아 장기적인 불행과 후회의 원인이 될 수 있음

come along 도착하다, 함께 가다, (원하는 대로) 되어가다

perplexed 당혹한

gratification 만족감

spiral 나선

propagate 전파하다

unearned 일하지 않고 얻은

self-hatred 자기 혐오

dormant 휴면기의

mayhem 대혼란

spectator (특히 스포츠 행사의) 관중

epiphany 예수 공현

반응형

※ 학습 노트

학습 시작 2021년 7월 4일

학습 사이트 Coursera(코세라) 평점 4.8

과정 제목 Learning How to Learn: Powerful mental tools to help you master tough subjects

학습 시간 비디오 3시간, 연습문제 3시간, 보너스 자료 3시간 

강사 Barbara Oakley, Dr. Terrence Sejnowski

 

학습일기 2021년 7월 30일

 

Summary for Module2 (3'39)

  • chunk는 사용과 의미에 따라 묶임. key 아이디어와 action을 통합
  • chunk는 더 크고 복잡해질 수 있지만, 한 번에 접근 가능하다. working memory의 slot을 차지하고 있는 리본으로 비유 가능
  • 무엇인가 이해하려고 노력할 때 훌륭한 청크 도서관을 가지고 있으면 diffuse 모드에서의 속삭임을 통해 2개 또는 그 이상의 청크를 묶어서 새로운 문제 해결 방법을 찾을 수 있음 
  • chunk는 집중, 전념, 기본 아이디어 이해를 통해 잘 만들어짐. 그리고 연습은 패턴을 더 깊게하고, 큰 그림을 그리는 것을 도와줌 
  • 학습한 내용을 보지 않고 recall 해보는 것이 큰 도움이 됨. 이 것은 신경 후크 (neural hooks)를 만드는 것과 같음.
  • 특히 학습 장소 외의 장소에서 recall 해보는 것이 나중에 (시험을 볼 때 등 필요 시) 해당 내용에 접근을 용이하도록 함 
  • illusion of competence 1) 스스로 테스트를 해봐라~ recall해보는 것은 일종의 mini-test가 될 수 있다. 하이라이트를 최소화하라. 하이라이트하는 것만으로 머리속에 들어왔다고 착각할 수 있다. 실수는 illusion of competence를 알게하므로 학습에 도움이 될 수 있다. 쉬운 것만 학습하는 것을 피하라. 더 아려운 문제에 의도적으로 집중하는 deliberate practice를 해라

synthesize 합성하다, 통합하다

scintillating 재기넘치는

in places 곳곳에서

 


Optional Interview with Dr. Norman Fortenberry - Learning at MIT (10'29)

  • 대학은 고등학교와 다르게 team을 찾고 확대해나가야 한다
  • 효과적인 학습 방법 1) multi-mode input (보고, 말하고, 쓰는) 2) 다른 사람에게 내가 알고 있다고 생각하는 것을 가르치거나 그룹 학습을 하면서 challenge를 받아 생각을 입증하거나 오류를 찾으면 혼자 이해했다고 생각하고 넘어가거나, 틀린 것을 학습할 위험을 피할 수 있음

deadly 생명을 앗아가는

live up to 에 부끄럽지 않게 살다

calculus 미적분학

hardship 어려움

lemming 나그네쥐

buckle down 본격적으로 덤비다

keep your nose to the grindstone 쉬지 않고 죽어라 일하다

fallacy 오류

grappling 붙잡고 싸우다

 

 

Optional Interview with Scott Young, a "Marco Polo" of learning (16'09)

  • 언어를 배울 때 빨리 말하기를 시도해서 무엇을 틀리는지 스스로 확인한다.
  • 문제를 다루는데 어려움을 겪어봐야, 지식을 향상시킬 수 있음
  • Self explanation. 리처드먼은 어려운 문제에 당면했을 때 손을 놓기보다는, 해당하는 논문뿐만 아니라 소스까지 다 학습을 하여 그것을 뒷받침하는 아이디어까지 이해하려고 애쓴다. Marco Polo는 여기서 아이디어를 얻어, 종이를 꺼내 다른 사람에게 가르친다고 생각하고 아는 것을 적어보는데, 그렇게 하면 내가 모호하거나 정확하게 설명되지 않은 부분에 대한 단서를 얻게 된다.  그때, 교재를 보면, 내가 모르는 것에 해당하는 부분을 정확하게 찾아보거나 선생님이나 동료들에게 물어볼 수 있다.
  • 생생한 예시를 만듬. 그림을 그려봄. 비유를 찾아봄
  • 동기에 대한 생각은? 학습하는 주제에 대해 많이 노출되는 것이 중요. 잘할 수록 자신감을 가지고 흥미를 찾을 수 있기 때문에 조금씩 시도해봐야 함 (little step, little mini projects)
  • 실패를 할 때 그만두지 않고 전략을 전환함
  • self-education. 구체적인 프로젝트를 만드는 것. 예를들어, 3개월 안에 언어 배우기.   
  • 무조건 많은 시간을 투자하려고 하면 시간을 비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으니, 길지 않더라도 정해진 시간에 집중하는 것을 시도 중. 예를들어, 한국어 공부를 하루에 3-4시간만 하고 있는데, 이것은 MIT 재학 당시 학습 시간에 비해 많이 짧지만, 그 시간 동안에만은 집중을 하고 있다.

immerse 담그다 

strain 부담

voltage 전압

meticulous 꼼꼼한, 세심한

comb through 구석구석 찾다

pedantic 지나치게 규칙을 찾는 

You didn't allow that to get to you. 

taper off 점점 줄이다

immersion 몰두

반응형

 

※ 학습 노트

학습 시작 2021년 7월 4일

학습 사이트 Coursera(코세라) 평점 4.8

과정 제목 Learning How to Learn: Powerful mental tools to help you master tough subjects

학습 시간 비디오 3시간, 연습문제 3시간, 보너스 자료 3시간 

강사 Barbara Oakley, Dr. Terrence Sejnowski

 

학습일기 2021년 7월 26일

맙소사, 5분짜리 영상을 보는데 30분이 걸린다.

중간 중간 멈추고 단어를 검색하고 문맥 상 의미를 찾아보고 내용을 이해하고 다시 들어본다.

지난 공부 이후 일주일이 지나서야 또 공부하고 싶은 마음이 생긴다 ㅎㅎ 

이번 주는 저녁마다 한 시간씩 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What Motivates You? (5'00)

  • 신경조절기(뉴런이 다른 뉴런에 어떻게 반응하는지 영향을 미치는 화학 물질) 3가지 - 아세틸콜린, 도파민, 세라토닌
  • 아세틸콜린 대뇌 피질에 연결되는 신경조절기 형성. focused learning에 중요. 넓게 순환하며 시냅스 가소성을 통제하여 long term memory로 이끄는 회로를 활성화함
  • 신경조절기는 무의식적인 마음에도 심오한 영향을 미침
  • 동기는 도파민이라는 특정 화학 물질로부터 제어됨
  • 도파민 부족 > 동기 저하, 쾌감 상실 / 도파민이 심각하게 부족 > 파킨스 병
  • 공부한 후에 스스로 어떠한 대접을 스스로 약속할 때 도파민 사용   
  • 세라토닌은 소셜 라이프(원숭이의 경우, 지위 높을 수록 세라토닌 높은 것으로 나타남) 와 risk taking 행동에 영향을 줌 (원숭이의 경우, 위험 행동 높을 수록 세라토닌 낮은 것으로 나타남) 
  • 감정은 인지와 별도인 것으로 여겨졌으나 지각, 집중, 학습과 기억에 밀접하게 상호작용하는 것으로 밝혀짐
  • 편도체는 인지 & 감정이 효과적으로 통합되는 주요 센터 중 하나임
  • 편도체는 해마와 함께  대뇌 변연계의 일부로, 기억, 의사결정, 감정 반응에 대한 조절을 함
  • 효과적인 학습자가 되기 위해서는 편도체를 행복하게 유지해야함...!

diffusely 산만하게

projecting 돌출한, 툭 튀어나온

neuromodulators 신경조절기

acetylcholine 아세틸콜린

dopamine 도파민

serotonin 세로토닌

synaptic plasticity 시냅스 가소성 (시냅스는 신경세포 간의 정보가 전달되는 구조적인 장소 지칭. 시냅스는 그 활성 정도에 따라 구조와 기능이 지속적으로 변화 가능하며, 이를 시냅스 가소성이라 부름)

ganglia ganglion(신경절)의 복수

anhedonia 쾌감 상실resting tremor 안정시떨림 (힘을 빼서 축 늘어진 사지에서 일어나는 떨림)rigidity 경직catatonia 긴장병prozac 프로젝 (우울증 치료제)inmate 수감자intertwine 엮이다amygdala 편도체limbic 대뇌 변연계

 

 

The Value of a Library of Chunks (5'30)

  • 더 크고, 더 잘 실행되는 chunked mental library 가질 수록, 주제와 상관없이 더 쉽게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 Transfer : chunk는 개념 이해에도 도움이 되는데, chunk를 가지고 있으면, 다른 영역의 비슷한 부분을 찾아서 연결할 수 있다. 예를들어 약학을 배우기 위한 개념과 문제 해결 방법은 비즈니스의 chunked 개념과 유사할 수 있다.
  • Compaction: chunk는 정보를 압축하여 보다 더 간결하게 하는 방법이다. 특정 주제에 대해 chunking하는 경험을 더 많이 할 수록 만들 수 있는 chunk가 점점 커지고 신경 패턴이 더욱 단단하고 견고해진다. 이때, 뇌는 신경 패턴 모음이나 도서관과 비유할 수 있음
  • Creativity : 문제 해결을 위해 순차적으로 추론하는 방법(focused mode)과 직관을 이용해 다른 것으로 보이는 focused mode의 생각들을 연결해주는 방법 (창의적인 diffuse mode)이 있다. 대부분의 어려운 문제와 개념은 직관을 통해 이루어지는데 이것은 대부분의 새로운 아이디어는 익숙하지 않은 것에서 만들어지기 때문이다. 
  • Law of Serendipity : 어떤 개념이든 학습하고 나면 그 다음 개념을 학습하는 것을 도와줄 수 있음

underlies 기저를 이루다

novel 새로운

lurking 숨어있는

brush up ~의 공부를 다시하다

compaction 간결화

 

 

Overlearning, Choking, Einstellung, Chunking, and Interleaving (8'42)

  • Overlearning : 완전히 익힌 후에 계속 연습하는 것. 테니스 서브를 넣거나 피아노를 칠 때 등 자동성이 필요하거나, 대중 앞에서 연설할 때 유용. 전문 연설가들도 20분의 Ted talk을 위해 70시간을 연습한다고 함.
  • 하지만 이미 완벽하게 아는 것을 반복적으로 계속하면 illusion of competence를 가져올 수 있다. 대신, 더 어려운 것을 찾아 연습하는 것은  deliberate practice라고 함.
  • Einstellung : 이미 가지고 있는 생각이 새롭고 더 나은 해결 방법을 찾는 것을 방해할 수 있음. 새로운 것을 배울 때 기존의 것을 unlearn 할 필요도 있음
  • Interleaving : 새로운 것을 배우는 것은 기본 chunk를 배우는 것뿐만 아니라 다른 chunk를 선택하고 활용하는 방법을 배우는 것. 이는 다른 기술 및 전략을 필요로 하는 문제나 상황을 다양하게 경험해서 배울 수 있음. interleaving은 다른 챕터, 혹은 주제나 과목을 넘나들며 학습하는 것으로 유연성과 창의력을 발달시킴

wary of ...을 조심하는

bashing 강타

rut 바퀴자국

interleave 끼우다

entrenched 참호로 둘러싸인

반응형

※ 학습 노트

학습 시작 2021년 7월 4일

학습 사이트 Coursera(코세라) 평점 4.8

과정 제목 Learning How to Learn: Powerful mental tools to help you master tough subjects

학습 시간 비디오 3시간, 연습문제 3시간, 보너스 자료 3시간 

강사 Barbara Oakley, Dr. Terrence Sejnowski

 

학습일기 2021년 7월 18일

어제 week2를 시작하려는 마음으로 코세라를 들어갔는데, week1의 부록으로 인터뷰가 3개나 있었다. 

처음부터 목차를 제대로 봤어야 했는데 하나 보고 또 하나 나와서 당황하고 

두 개 보고 또 하나 나와서 당황하는 식으로 세 개를 봤다 ㅋㅋㅋ

인터뷰 하나하나가 본 과정의 영상 클립들보다 길었는데 다행히 다 재미있었다. 다만 week2는 시작을 못함

오늘합니다!

 

그 전에, week1에 대한 소감을 남기고 싶다. 학습자로서. 교육을 담당하는 사람으로서.의 생각이 혼재되어있다. 

자는 동안 뇌세포가 축소하면서 통로가 생기고 그때 독소가 씻겨나간다는 것, 전두엽이 쉬면서 뇌의 나머지 부분이 배운 것을 정리한다는 것, long term memory가 저장되는 뇌는 대형 마트 창고와 같아서 어딘가에 있는 기억을 찾아가는 것을 반복적으로 해야 나중에 필요할 때 쉽게 찾아갈 수 있다는 것, 사람의 뇌세포는 살면서 생성되기도 한다는 것, 그것이 운동할 때 라는 것--- 두둥!---이 신기해서 주변 친구들한테 아는 체했고, 다들 흥미로워했다.

대학원을 가거나 자격증 공부를 하지 않아서 정형화된 새로운 지식은 업무를 위해 리서치를 하다 알게된 정도였는데, 새로운 것을 알게되는 것이 즐거웠던 것 같다. 인스타나 유투브에 다양한 정보가 많지만, 보다 공신력있는 지식을 전달하는 느낌이었다. 물론, 이러한 이론들도 학자들마다 다른 의견을 가지거나 후에 달리 밝혀질 수도 있겠지만.

친구들에게 말하면서 내가 관심있게 들은 주제는 이거였구나, 한 번 더 인지하게 된다. 두 번, 세 번 말할 때 이전보다 정리되는 기분이다. 새로운 것을 배울 때, 배운 것을 요약해서 옆에 말해보도록 하는 방식은 효과가 있을 것 같다. 다만, 자발적으로, 정말 흥미 진진하지? 하는 심정으로 말할 때와는 효과가 다르겠지만.

주변에 알려주는 것에 재미를 느끼면 그 다음 내용을 공부하면서 친구들에게 말하고 싶은 내용을 찾게되기도 한다. 그래서 보다 집중하게 된다. 다만, 이 부분은 학습자의 성향에 따라 다를 수 있겠다는 생각이 든다. 

무엇이든 다만, 이 붙는군...!  

 

아무튼, week2 시작

 

 

Introduction to Chunking (1:08)

- 배울 것에 대한 예고

- chunk (compact packages of information that your mind can easily access)를 어떻게 만들 것인지,
  chunk를 이해, 창의력, 시험을 잘 보기 위해 어떻게 활용할 것인지, 

- illusions of competence in learning 비효과적인 방법으로 학습해서, 학습하고 있다고 생각하지만 시간 낭비하고 있을 때, 어떻게 해야할지

- overlearning, interleaving 

 

ingrain 깊이 베어든, 타고난, 염색한

rut 바퀴자국

interleaving (특히 얇은 막 같은 것을) 끼우다.

 

 

What is a Chunk? (6:05)

- Chunk는 의미와 사용에 따라 묶이는 정보임

- 순조롭고 효과적으로 생각하거나 행동하도록 하는 뉴런 네트워크

- 작은 청크가 커지면서 전문 지식으로 이르게됨. 전문 지식들은 해당 영역의 마스터가 되기 위해 할 수 있는 다양한 해석의 근거가 됨

- 한 번 아이디어, 개념, 행동을 청킹하고나면, 모든 세부 사항을 기억하지 않아도 메인 아이디어, 즉 청크로 충분해짐

 

shimmering 희미하게 빛나다, 어른거리다

scintillating 재기넘치는

rote 암기

firing 발사, 발포

underpin (주장 등을) 뒷받침하다

swirl 빙빙돌다

 

How to Form a Chunk - Part 1 (5:07)

- 작은 청크를 하나씩 만든 후에 그것들을 짜맞추어 점점 큰 청크를 만들어감

 

stringing 묶다

extemporaneous 즉석의

 

How to Form a Chunk - Part 2 (7:09)

- 청킹의 1단계: 청킹하고자 하는 정보에 분산되지 않는 집중력

working memory는 한번에 작동하는 한계가 있기 때문에 핸드폰을 보거나 TV를 보며 집중력을 잃으면 새로운 정보를 청킹을 하는데 어려움

- 청킹의 2단계: 청킹하고자 하는 것에 대한 기본 아이디어 이해 

- 청킹의 3단계: context 확보.
context는 관련 있거나 없는 문제들을 반복하고 연습하면서 초기에 마주한 문제를 더 넓은 관점에서 보는 것
청크를 어떻게 만드는지 뿐만 아니라 언제 사용할 수 있는지 알 수 있음 

학습은 bottom-up에서 청크를 만들어가는 것과, top-down으로 큰 그림을 보며 배운 것들이 어디에 fit-in하는지 보는 과정이고, context는 이 둘이 만나는 곳

 

tentacle 촉수 

continental drift 대륙이동설

synthesize 합성하다

gist 요지

 

Illusions of Competence (8:31)

- recall, mini-testing, 실수의 중요성

- 책을 학습할 때 가장 전형적인 접근은 책을 다시 읽는 것(반복 읽기)인데, 책을 읽은 후 방금 읽은 내용을 상기시켜는 것이 더 생산적!

- 개념 지도나 다이어그램을 그려 컨셉간의 관계를 그리는 것이 제일 좋음. 하지만 기본 개념을 알기 전에 그림부터 그리는 것은 도움이 안됨 

- 새로운 것을 학습 할 때 working memory의 모든 slot을 사용하는데, 청크를 만들면, 여러 개의 정보가 하나의 slot을 사용하게되면서 다른 slot에 여유가 생김

- 개념을 청킹한 후에는, 새로운 개념을 연결하기가 더 쉬워지는데, 이는 하나의 working memory slot에 큰 웹페이지 하이퍼 링크를 다는 것과 같아짐 

- 다른 사람이 하는 것을 보고, 아 저렇게 하는구나 이해하는 것은, 학습 능력의 착각임. 직접 시도해보고 행동해야함

- 책을 보면서 밑줄을 긋거나 하이라이팅하는 것 역시 비효과적이며 심지어 손 동작을 많이 하면서 스스로 이해했다고 착각하게 만듬. 메인 아이디어가 뭔지 더 집중하고, 한 문단에 하나 또는 그보다 적게 밑줄을 긋고, 여백에 내용을 종합 요약하는 방법이 더 좋음  

- 더 큰 시험을 치루기 전에 스스로 작은 시험을 치루면서 학습한 내용을 recall하고 실수를 통해 바로 잡아가는 것 매우 효과적 

- recall을 할 때에는 평소에 학습을 하는 장소가 아닌 다른 장소에서 하는 것이 도움이 됨. 익숙한 학습 환경은 알지 못하는 사이에 단서를 주기 때문에 recall이 쉽게 될 수 있는데 보통 시험을 치루는 곳은 평소 학습을 하는 곳이 아님. 환경적 단서가 없는 곳에서 여러번 recall을 하면 장소와 상관없이 독립적인 지식을 확보할 수 있음 

 

retrieval 되찾아옴, 회수

strand 가닥

dangling (달랑) 매달리다

subliminal 알지 못하는 사이에 영향을 미치는 

반응형

※ 학습 노트

학습 시작 2021년 7월 4일

학습 사이트 Coursera(코세라) 평점 4.8

과정 제목 Learning How to Learn: Powerful mental tools to help you master tough subjects

학습 시간 비디오 3시간, 연습문제 3시간, 보너스 자료 3시간 

강사 Barbara Oakley, Dr. Terrence Sejnowski

 

A procrastination preview (2분)

- 하기 싫은 일을 생각하면 고통과 관련한 뇌 영역이 활성화되는데, 
- 막상 시작하면 부정적 자극이 금방 사라지는 것으로 확인됨 

- 해결 방법: 타이머를 25분 맞추고 모든 방해물을 없애고 집중하면 됨

- 대부분의 사람들은 25분 집중할 수 있음

- 스스로 25분마다 약간의 보상을 주면 됨 (커피, 스트레칭, 잡담 등)

 

procrastination 미루는 버릇

 

 

Practice Makes Permanent (6분)

- 수학이나 과학이 더 어렵다고 생각되는 이유는, 추상적인 개념이고 삶과 유사한 부분이 없어서임
  (반대적인 예시로 '소'라는 단어를 학습 할 때는 '소'라는 대상을 가르킬 수 있는데 수학의 기호들은 그렇지가 않음)

- 뉴런은 반복된 사용으로 서로 연결됨
- 추상적인 것일수록 그 아이디어를 현실로 끌고 오는 것을 연습하는 것이 중요함 

- 추상적인 아이디어라도 신경 패턴은 실제하고 구체적으로 될 수가 있음

- 신경 패턴은 연습을 통해 만들어지고 강해지며, 관련된 문제까지 연습하면 패턴이 진해지며 영원해짐 

 

belligerent 적대적인

flunk 낙제하다

downright (부정적이거나 불쾌한 것을 강조하여) 순전한

grenade 수류탄

in the greater/grand scheme 종합적인 관점에서

analogous 유사한 노트

down cold 완벽히 터득하여

seeming 겉보기의 

cramming 부당 요금 부과

jumble 뒤섞다

 

 

Inotroduction to Memory (4분)

- long term memory: 이미 알고 있는 방정식과 언어를 떠올리기 위한 메모리 

- working memory: 컨셉을 이해하고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메모리

- working memory는 전두엽 피질에서 담당함

- 예전에는 working memory에 7개 정도의 청크를 보유한다고 생각했지만,

  현재는 4개 정도의 청크를 유지할 수 있다고 믿고 있음

- working memory는 비효율적인 칠판과 같아서, 여러번 반복적으로 기억해야 저장이 됨

- long term memory는 (엄청 넓고 큰) 창고형 매장 같아서 기억이 여기저기 흩어져있음

- long term memory에 있는 기억은 여러 번 반복해야 찾아야 나중에 필요할 때 어디있는지 알 수가 있음

- 새로운 것을 배울 때 working memory를 사용하다가 long term memory로 옮길때는 시간과 연습이 필요

- 이때 '간격을 둔 반복' 기술을 써야 하는데. 새로운 어휘나 문제 해결을 배울 때 하루에 여러 번 반복하는 것보다 여러 날 동안 같은 횟수를 반복해야함. 이것은 벽돌을 쌓을 때 벽돌 사이의 모르타르가 마르는 시간을 줘서 단단하게 쌓일 수 있도록 하는 것과 같이 시냅스의 연결을 단단하고 강하게 하는 것임  

 

prefrontal 전두엽

cortex 피질

dissipating 소멸하다

 

 

The importance of Sleep in Learning (3분)

- 깨어있는 동안 뇌는 독성 물질을 생성함

- 수면 상태에서 뇌세포가 축소하면서 공간이 생기고 이때 길이 만들어져서 독성이 씻겨나감

- 자는 동안 뇌는 메모리의 덜 중요한 부분을 지우고 동시에 기억해야하거나 기억하길 원하는 것을 강하게 함

- 배우면서 가장 힘들었던 부분을 리허설하고 반복하여 신경 패턴을 깊고 강하게 함 

- 전두엽이 쉬면서 다른 뇌가 더 활성화되도록 하는 것임  

 

metabolic 물질 대사의

 

 

Interview with Dr.Terrence Sejnowski (14분)

- learning by doing, learning by osmosis  

- 지루한 강의에 집중하는 방법은? 질문을 하고, 자주 끼어들고, 적극적으로 참여함

- 조깅은 새로운 아이디어를 떠올리는데 좋음. 샤워를 하며 까먹기 전에 떠오른 생각을 노트에 적어둠

- 풍부한 환경 (자극이 되는 사람들, 다양한 활동)은 새로운 뉴런을 만들기도 함. 풍부한 환경이 없을 때는 

  운동 역시 새로운 뉴론을 증가시킴

 

get into the thick of it 깊숙이 들어가다

osmosis 삼투

waylay 불러세우다

evaporate 증발시키다

hubbub 왁자찌껄한 소리

hippocampus 해마

impoverished 빈곤한

avid 열심인

onslaught 맹공격

 

 

Optional Interview with "Benny the Irish Polyglot" about Learning Languages

- Benny Lewis 인터뷰 (해킹 언어 연습 테드 강연을 한 듯)

- 아이들은 어른들과 다르게 실수를 두려워하지 않고 언어와 놀 줄 안다는 점에서 성인보다 유리

- 완벽한 문장을 만들지 않아도 사람들은 알아들 수 있다

- 자기만족적 예언 (나는 성인이라서 언어를 배우는데 한계가 있을거야)는 스스로를 그렇게 만든다.

- 헨리 포드는 whether you think you can or think you cant, you're right라는 말을 함

- 사람들은 다른 사람이 여러 개의 언어를 잘할 경우, 그 사람은 여행을 다닐 처지가 되거나, 교습을 받을 기회/돈이 있거나, 타고난 언어 DNA가 있어서라고 생각하지만, 모든 사람은 비슷한 이점과 제약이 있다. 

- Benny의 언어 공부 실패 경험: 스페인어를 배울 때 반지의 제왕 한 권을 사전을 찾아가며 다보면 스페인어에 유창할 것이라고 생각했으나, 2페이지를 보는데 일주일이 걸림. 700페이지를 읽으려면 10년은 걸리겠다는 생각이 들었음. 실패를 한 번하고 나면 나는 언어 공부와 안 맞는다, 고 생각하며 언어 공부 포기를 하는데, 잘못된 것은 방법이기 때문에 다른 방법을 찾아가면 된다.

- 독일어로 테이블을 뜻하는 tisch를 외울 때 tisch-table을 반복하여 학습하면 tisch를 읽거나 들을 때는 table과 연결되지만, 테이블을 말하고 싶을 때에는 tisch와 대칭되는 것이 없다. 이때는 tissue로 만든 테이블에 음료를 얹었는데 table이 무너져서 음료가 다 쏟아지고, tissue를 써서 닦는-장면을 상상한다. 그러면 이후에 독일어로 table을 말하고 싶을 때 쉽고 빠르게 연상되는 이미지가 생긴다. 연상을 몇 번 반복하여 하다보면 나중에는 굳이 연상을 하지않아도 자연스럽게 사용하게된다. 

- memrise.com 을 방문하면 사람들이 가장 좋아하는 mnemoic을 투표해놓은 것을 참고할 수 있음

- 혹은 반복을 통해 학습하고 싶으면 anki 라는 앱을 추천함

 

prophecy 예언

immersion 몰두, 몰입

woe 고민, 문제

exert (권력.영향력을) 가하다, 있는 힘껏 노력하다

rote 암기

asymmetrical 비대칭적인

symmetrical 대칭적인

latch 자물쇠

mnemonic 연상기호

tonal 음색의

 

 

Optional Interview with Dr. Robert Bilder on Creativity and Problem Solving

- Dr.Robert Bilder 인터뷰 (창의력)

- 성격 요소인 openness, conscientiousness, extroversion, agreeableness, neuroticism 중 창의력과 상관관계가 있는 것은 openness와 agreeableness가 있는데, agreeableness는 낮을 수록 창의력이 높음

- 학습하는 방법: zooming in & out

 

conscientiousness 성실성

extroversion 외향성

agreeableness 기분 좋음

neuroticism 신경증적 성질

counter intuitive finding 반 직관적인 발견

push the envelope 한계를 초월하다

sesquipedalian 길고 어려운 말

mind blowing 너무나 신나는

subatomic 원자보다 작은

octopus of attention 무엇인가에 집중할 때 working memory의 4개 슬롯에 촉수를 꽂는 것. 뇌의 다양한 영역에 있는 정보를 연결 

intersecting gyres, cones 교차하는 회랑, 원추체

 

 

Optional Interview with Writing Coach Daphne Gray-Grant

- Daphne Gray-Grant (글쓰기), www.publicationcoach.com  

- diffuse mode에서 창의적인 글쓰기, focus mode에서 편집. '운전자는 하나'이듯 둘을 같이하면 안되는데, 사람들은 같이 하려고 함 

- 따라서 mind mapping을 추천. mind mapping을 할 때는 종이를 준비해서 가로로 놓는 것이 중요. 세로로 놓을  때는 리스트를 쓰거나 아웃라인을 그리고 싶어짐. - 가운데 주제를 쓰고 글자에 동그라미를 그린 후 이후에 생각나는 것을 작성하면 됨. 사람들의 기억력은 생각보다 좋아서 단어 두어 개로 기억을 떠올릴 수 있음

- 글을 쓰면서 편집을 하고 싶은 마음이 자꾸 들면 컴퓨터로 글을 쓸 때 모니터를 가리거나, 꺼버리는 것도 방법

- Write or Die 사이트(writeordie.com) 추천. 작성하고 싶은 단어 수나 시간을 설정하면 글을 작성할 때 빈 화면이 나옴. 타이핑을 멈추면 화면의 색깔이 바뀌다가 우는 아이, 자동차 견적, 70년대 디스코 뮤직 등의 벌칙 소음이 들림. 작성 중에 편집하는 버릇을 고칠 수 있음

 

hone 연마하다

flies in the face 반대하다

down playing 대단치않게 생각하다

wary 경계하다

equation 방정식, (여러 가지 요소들을 고려해야 하는) 상황

allude 암시하다

 

반응형

※ 학습 노트

학습 시작 2021년 7월 4일

학습 사이트 Coursera(코세라) 평점 4.8

과정 제목 Learning How to Learn: Powerful mental tools to help you master tough subjects

학습 시간 비디오 3시간, 연습문제 3시간, 보너스 자료 3시간 

강사 Barbara Oakley, Dr. Terrence Sejnowski

 

Introduction to the focused and diffuse modes

- 사고의 두 모드가 있음 Focused 모드 & Diffuse 모드

- Focused 모드는 간단한 계산, 문학 비평, 전자기 흐름 등 익숙한 문제를 해결할 때 사용

- Diffuse mode는 새로운 사고 패턴, 다른 방식으로 사고할 때 사용 

- 두 가지 모드를 동시에 할 수는 없는 것으로 밝혀짐

 

along the way 그 과정에서

condense 응결시키다

 

 

Using the Focused and Diffuse Modes--Or, a Little Dali will do You

- 살바도르 달리는 의자에 느긋하게 앉아 마음이 가는대로 두며,

  기존에 집중해서 생각하던 것을 멍하니 생각함

- 손에 열쇠를 들고 있다가 잠에 빠져서 바닥에 떨어지면 소리에 깨서

  Diffuse 모드에서의 새로운 생각들을 Focused 모드로 다시 불러일으킴

- 에디슨도 비슷한 방식으로 사고함

- 새로운 것을 배울 때는 Focused 모드와 Diffuse 모드를 왔다갔다해야함

- 비유, 예시는 학습에 도움이 됨

- 새로운 것을 배울 때는 근육을 키우는 것처럼 시간을 두고 단계적으로 해야 함

 

analogous 유사한 

fiend 악마같은 사람, ...광

neuro scaffold 

grapple with ~을 해결하려고 노력하다

assimilate (아이디어나 정보를) 완전히 이해하다. [소화하다]

 

 

What is Learning

- 뇌는 3파운드 정도 되지만, 몸의 다른 기관에 비해 10배의 에너지를 씀

- 과거에는 뇌가 성장하고 나면, 시냅스 강도는 학습에 의해 조절가능하지만,

  연결 패턴은 뇌손상이 있지 않는 이상 바뀌지 않는다고 보았음  

- 그러나 지금은 뇌 연결이 다이나믹하고 성장한 이후에도 그렇다고 알고 있음 

- 뉴론을 연결하는 시냅스는 끊임없이 생기고 사라짐

- 그러므로, 자고 나면 당신은 더 이상 같은 사람이 아닌 것임

- 셰익스피어의 맥베스가 불면증을 한탄하는 장면을 보면 세익스피어가 이 사실을 이미 알고 있었다는 것을 알 수 있음

  "걱정이라는 뒤엉킨 실타래를 풀어주는 잠, 하루하루 삶의 위안이며, 고된 노동의 목욕탕이고, 상처받은 영혼의 진정제이며, 위대한 자연의 두 번째 과정이고 삶이란 축제에 가장 중요한 영양을 공급하는 그 잠 말이지"

  즉, 잠은 낮 동안의 흐트러진 경험과 걱정의 실타래를 기워서 인생 스토리의 태피스트리를 만들어줌

 

dendritic 수상의(나무처럼 가지가 있는 형상)

spiny 가시가 있는

knob 손잡이

coming off 벗어나다

intriguingly 흥미를 자아내어

lament 애통하다

knit up 깁다, ...을 원상태로 하다

raveled sleeve of care 뒤죽박죽인 근심

weave into 짜서 ...을 만들다

 

추가 사이트 brainfacts.org

반응형

+ Recent posts